을 포함하는 다섯 글자의 단어: 10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03개 세 글자:253개 네 글자:379개 🍿다섯 글자: 109개 여섯 글자 이상:248개 모든 글자:1,193개

  • 변위법 : (1)정적 구조물에 지반 스프링을 설치하여, 지진의 진동에 의한 지반의 변형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진 설계 방법.
  • 냉수 유입 : (1)찬물이 흘러드는 논.
  • 작거리다 : (1)무슨 일에나 조금 가리지 않고 자꾸 참견하다. (2)자꾸 남에게 조금 붙임성 있게 굴다. (3)손으로 자꾸 좀스럽게 쥐거나 잡다.
  • 시럽다 : (1)‘분잡스럽다’의 방언
  • 옥설화 : (1)조선 시대의 가사(歌辭). 팔도강산의 빼어난 경치를 나열하고 고조선 때부터 신라 때까지의 역사를 중국과 병행하여 읊은 뒤, 빈부귀천에 상관없이 결국 북망산으로 가게 되는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하였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영 상태 응 : (1)모든 초깃값이 0인 계통의 외부 입력에 의한 응답.
  • 전화기 : (1)녹음된 내용을 알려 줌으로써 자동으로 연속적인 통화 응답을 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
  • 삭거리다 : (1)자꾸 왈칵 달려들어 냉큼 물거나 움켜잡다.
  • 선문하다 : (1)참선하는 사람들끼리 진리를 찾기 위하여 대화를 주고받다. (2)(놀림조로) 주어진 문제와는 상관없이 한가로이 이야기를 주고받다.
  • 불확정 응 : (1)둘 이상의 리터럴로 구성된 최소 응답.
  • 방마니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일문일 : (1)한 번 물음에 대하여 한 번 대답하는 방식.
  • 도리하다 : (1)‘잡도리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답도리다’로도 적는다.
  • 비응 상태 : (1)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보내고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장치가 교환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대답할 수 없는 상태.
  • 방매이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최종 응 : (1)요청받은 자료를 공급하는 기관. 상호 대차 처리의 응답자와 상호 대차 하부 처리의 응답자를 구분할 때 쓰는 용어이다.
  • 형체계 : (1)컴퓨터 이용자가 말단에 설치된 초소형 컴퓨터를 가지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중앙의 컴퓨터와 회화하면서 임의로 프로그램을 작성ㆍ실행ㆍ수정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
  • 몽중문 : (1)손병희가 지은 가사(歌辭). 천도교 제삼 대 교주인 작자가 교리를 문답 형식으로 노래한 것으로, 천도교에서 준경전(準經典)으로 삼는다.
  • 방 나인 : (1)조선 시대에, 세답방에 속한 나인.
  • 임풀스응 : (1)‘임펄스 응답’의 북한어.
  • 안동 : (1)기둥을 안은 것처럼 가슴이 답답한 사람.
  • 시스템 : (1)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즉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질하다 : (1)‘빨래하다’의 방언
  • 복수 응 : (1)동일한 문항에 대하여 두 가지 이상으로 응답한 사람.
  • 투성이 : (1)틀린 답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
  • 코대하다 : (1)탐탁하지 아니하거나 대수롭지 아니하게 여겨 건성으로 대답을 하다.
  • 그래픽 해 : (1)숫자의 연산에 의하여 얻는 해답이 아니라 도형 또는 그래픽 장치에 의하여 얻는 해답.
  • 해상도 응 : (1)규정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 흑백 막대기로 구성된 시험 패턴에 의해 정해지는 피피(P-P) 신호 진폭과 같은 밝기를 가지는 넓은 면적의 흑색과 백색 막대에 의한 피피(P-P) 신호 진폭의 비. (2)반주기가 규정된 선번호에 상응하는 구형파 시험 신호의 피피(P-P) 밝기와 그 신호와 같은 밝기를 갖는 넓은 면적의 흑색과 백색에 의해 만들어진 시험신호에 의한 피피(P-P) 밝기의 비.
  • 시편송 : (1)초기 가톨릭 교회에서 독창자와 회중이 각 시편을 교대하며 부르던 일.
  • 일모작 전 : (1)일모작을 하는 논밭.
  • 플러그 : (1)호출 신호를 받은 회선에 대해 응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러그.
  • 시츠다 : (1)‘빨래하다’의 방언
  • 메시지 : (1)송신 측에서 보내온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 측이 송신 측으로 보내는 정보의 내용.
  • 수리 안전 : (1)수리ㆍ관개 시설이 잘되어 가뭄에도 안전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논.
  • 사행가무 : (1)고려 시대에,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당악 정재(唐樂呈才)의 하나.
  • 상사회 : (1)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시집간 여인이 자기를 그리워하는 심정을 토로한 한 남자의 편지를 받고 이에 화답하는 내용으로, 모두 144구로 되어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검열해 : (1)통신 교육 기관에서, 학습한 내용과 그 이해 정도를 검열받기 위하여 제시해 준 문제에 대하여 적어 보내는 답안.
  • 연수유전 : (1)신라 때에, 매 세대가 국가로부터 받아 소유한 논밭. 실질적으로는 농민들의 소유지였지만, 형식적으로 국가가 나누어 준 것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 음성 응 : (1)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회화형 서비스에서 정보 전달, 지시, 유도를 위하여 사용하거나 역이나 공항의 자동 안내 방송 따위를 위하여 사용하는 음성 출력 장치. 미리 녹음된 음성 파형을 재생하는 것과 몇 개의 기계 처리로 출력되는 음성을 합성하는 것이 있다.
  • 손실 험법 : (1)조선 시대에, 세금을 부과하기 위하여 논밭에 나가서 실제로 조사하던 일.
  • 긴대하다 : (1)‘예’ 소리를 길게 내어 대답하다.
  • 질하다 : (1)(낮잡는 뜻으로) 말대답하는 짓을 하다.
  • 전갈하다 : (1)사람을 시켜서 대답을 전하다.
  • 임펄스 응 : (1)전자 회로나 자동화 요소들의 단위 임펄스 신호에 대한 출구 응답. 전자 회로나 자동화 요소 따위의 입구에 단위 임펄스를 걸어 줄 때 나오는 신호의 시각적 변화 특성을 이른다. 주로 문자나 숫자, 그래프 따위의 형태로 나타낸다.
  • 식별자 : (1)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표제 정보.
  • 협조적 응 : (1)자연 언어에 의한 맨 머신 인터페이스에서, 문장의 직접적 의미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의도를 추찰함으로써,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보다 적절하게 제시하려는 생각 또는 그 생각에 입각한 응답.
  • 자유 응 : (1)형식 따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응답하는 방식.
  • 방맹이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여자기 응 : (1)여자기의 여자 전압 변화가 요청되고부터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시간적인 비율. 여자 전압의 변화 시간을 가로축에 그린 전압 응답 곡선에서 구한다.
  • 용량 응 : (1)오염이나 소음이 점점 증가할 때마다, 그 증가량에 따른 피해액을 측정하는 방법.
  • 고응 동물 : (1)특정 항원에 대해서 다른 계통의 마우스보다 한 면역 높은 응답을 나타내는 근교계 마우스. 그 응답을 결정하는 면역 응답 유전자의 존재와 관계가 있다.
  • 시각적 응 : (1)설문 조사법에서 응답자가 글이 아니라 그림 형태로 대답하도록 하는 방법. 환경의 인식, 환경의 지각 따위에 관한 자료는 글로 쓰인 서술적 응답보다 이 방법이 효과적이다.
  • 방마이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작데기 : (1)‘바지랑대’의 방언
  • 말대하다 : (1)손윗사람의 말에 반대한다는 뜻의 이유를 붙이어 말하다. (2)묻는 말을 맞받아서 대답하다.
  • 탈곡기 : (1)곡식이 나오는 원통을 직접 발로 회전시키면서 손으로 이삭을 쥐고 낟알을 떨어내는 탈곡기.
  • 개간하다 : (1)굳은 땅이나 밭을 논으로 만들다.
  • 인사하다 : (1)말, 동작, 물건 따위로 남에게서 받은 예(禮)를 도로 갚다.
  • 스럽다 : (1)사람들이 많이 몰려 북적북적하고 복잡한 데가 있다.
  • 배수 불량 : (1)물이 잘 빠지지 않는 논. 여기에 작물을 심으면 식물의 뿌리 부근에 오랜 기간 물이 고여 있기 때문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 탄소성 응 : (1)진동계에 동적 외력이 작용한 경우의 진동계의 응답. 재료에 변형을 일으키는 하중을 제거해도 변형이 남는 탄성과 소성의 성질을 가지며, 힘과 변형의 관계가 이력 루프를 그리는 복원력 특성을 갖는다.
  • 맞대하다 : (1)상대의 말에 마주 응하여 말하다.
  • 방매이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가우스 응 : (1)가우스 분포 곡선과 같은 꼴로 나타나는, 특수한 주파수 응답. 과도 응답 특성이 좋은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과 가깝다.
  • 무응 편의 : (1)가상 가치법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실행할 때, 피설문자의 낮은 응답률 때문에 발생하는 편차. 표본 무응답 편의와 표본 선택 편의의 두 가지로 나뉜다.
  • 하는 눈 : (1)1965년에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개최된 대규모 전시회. 윌리엄 사이츠가 기획한 행사로, 순수한 시각적 표현을 강조한 것이 출품작들의 공통된 특징이었다.
  • 폐쇄 응 : (1)응답자가 제시된 질문의 응답 보기 중에서 하나 또는 몇 개를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설문 형식.
  • 안 스티커 : (1)수험생들이 자신이 작성한 답안지의 내용을 옮겨 적을 수 있도록 제작한 스티커.
  • 반복증 : (1)똑같은 말을 계속해서 되풀이하는 언어 장애.
  • 마구 : (1)안타까울 정도로 답답한 것. 또는 그런 사람.
  • 초당문 : (1)조선 시대의 가사집. 경세(經世)와 훈민(訓民)을 목적으로 오륜(五倫), 백발(白髮), 사군(事君) 등 열다섯 편의 가사로 되어 있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교리 문 : (1)그리스도교에서 문답 형식으로 엮은 종교 교육서. 15세기에 인쇄술이 발명되고 16세기에 종교 개혁이 일어나면서 대량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16세기 중엽에 출판된 하이델베르크 교리 문답과 17세기 중엽의 웨스트민스터 교리 문답이 대표적이다.
  • 포착 응 : (1)통신망에서 특정한 시간 간격 동안에 주어진 회로군이나 목적지 부호에 대하여 출회선 포착의 전체 수에 대한 응답 신호의 결과로 생기는 회선 포착 수의 비(比)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 냉수 용출 : (1)찬물이 솟아나는 논.
  • 직파기 : (1)물대기를 하지 않고 마른논을 경운ㆍ쇄토한 후에 직파하는 기계.
  • 프레임 : (1)데이터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2)이차국에 의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 프레임.
  • 당대기 : (1)‘바지랑대’의 방언
  • 당의즉 : (1)어떤 물음에 대하여 옳은 대답을 알고 있으면서도 일부러 모르는 체하거나 아무렇게나 대답하는 증상. 조현병이나 히스테리에 의한 가성 치매에서 볼 수 있다.
  • 표시등 : (1)전화 교환대에서 사용하는 램프. 접속 플러그를 호출 장치에 연결하면 램프에 불이 켜지고, 호출된 전화가 응답하면 불이 꺼진다. 호출이 완료되면 다시 램프에 불이 들어온다.
  • 힐문하다 : (1)트집을 잡아 따지는 물음과 대답을 하다.
  • 저위 생산 : (1)생산성이 평균 이하인 논. 논의 토양이 사력토, 미사토, 중점토, 염류토, 특이 산성토 등인 경우에 볼 수 있다.
  • 험 손실법 : (1)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관리나 토지 주인이 직접 농작의 상황을 조사하여 보고하면 작황의 손결에 따라 일정한 세금을 덜어 주거나 면제하던 세율 규정법. 고려 공양왕 3년(1391)의 과전법 실시 이후부터 조선 세종 26년(1444) 공법(貢法)을 제정할 때까지 시행하였다.
  • 주파수 응 : (1)전기 회로나 기계 진동계에 일정한 주파수의 입력을 가하였을 때 계(系)에 생기는 진동의 진폭이나 위상(位相). 또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표현한 계의 특성.
  • 프린트 : (1)노출 보정 및 특수 효과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필름스트립 또는 동영상 따위의 원본으로부터 만들어진 시청각 프로그램의 첫 양각 복사본.
  • 자동 응 : (1)일정 시간 내에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기기.
  • 경지 정리 : (1)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확을 늘리기 위하여 농지를 반듯하고 널찍하게 고치고, 배수와 관개에 따른 모든 설비를 개량한 논.
  • 지향성 응 : (1)특정한 주파수나 평면 내에서 방사하거나 그에 입사하는 음파 방향의 함수. 그래프에 표시하는 변환기의 응답 표현이다.
  • 거짓 응 : (1)무선 수신기에서, 거짓 응답이 발생하는 주파수에서의 전계 강도와 소요 주파수에서의 전계 강도의 비율.
  • 어초문 : (1)조선 중기의 화가 이명욱이 그린 고사 인물화. 나무꾼과 어부의 대화 장면을 그린 작품으로, 소식의 <어초한화(漁樵閑話)>를 소재로 하였다. 이명욱의 사실적인 표현력과 격조를 말해 주는 대표작이면서 당시 인물화풍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방마치 : (1)‘빨랫방망이’의 방언
  • 새기놓다 : (1)‘덮치다’의 방언
  • 슬로 어 : (1)전문적이고 복잡한 신제품보다 실용적이고 편리한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군을 이르는 말.
  • 엄대하다 : (1)남이 써 놓은 어음에 대하여 보증하다.
  • 완료율 : (1)전체 스위칭이 완료된 발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비율. 또는 접속이 완료되어 호출 신호가 송출된 착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비율.
  • 무응하다 : (1)응답을 하지 않다.
  • 먼지쌔기 : (1)먼지가 한군데 많이 모여 있는 것.
  • 영 입력 응 : (1)입력 함수의 모든 요솟값이 0인 경우 초기 상태에 의한 계통 출력 함수.
  • 배수 양호 : (1)배수가 잘되는 논.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는 물의 흐름이 빠르다.
  • 들이새다 : (1)세차게 두들겨 부수거나 치다.
  • 조회하다 : (1)무엇을 묻는 공문에 대하여 답을 하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0개) : 다, 닥, 닦, 단, 닫, 달, 닭, 담, 답, 닷, 당, 닻, 닼, 닽, 대, 댁, 댄, 댈, 댐, 댓, 댕, 댯, 더, 덕, 덗, 던, 덛, 덜, 덤, 덥, 덧, 덩, 덫, 덭, 데, 덱, 덴, 델, 뎁, 뎅, 뎌, 뎔, 뎜, 뎡, 뎧, 뎨, 도, 독, 돆, 돈, 돌, 돍, 돐, 돓, 돔, 돗, 동, 돛, 돜, 돝, 됀, 되, 됙, 됨, 됴, 두, 둑, 둔, 둘, 둟, 둠, 둥, 둬, 둼, 둿, 뒈, 뒘, 뒝, 뒤, 뒴, 뒷, 뒹, 뒿, 듀, 드, 득, 든, 들, 듥, 듬, 듯, 등, 듸, 디, 딘, 딜, 딤, 딥, 딩, 딮

실전 끝말 잇기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 (233개) : 답, 답가, 답가하다, 답간, 답간하다, 답감, 답감하다, 답결, 답계, 답계하다, 답곡, 답교, 답교놀이, 답교하다, 답구, 답구희, 답국, 답권, 답글, 답농, 답니까, 답니다, 답다, 답다부리하다, 답다비, 답다하다, 답달, 답답, 답답다, 답답선 ...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답을 포함하는 다섯 글자 단어는 10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